현대미술관, 이승조 작고 30주년 기념
'도열하는 기둥'展 인스타그램에 공개

▲ (왼쪽부터) 핵 10(1968), 핵 87-99 (1987)

[충청일보 신홍균기자] 국립현대미술관이 기획전 '이승조: 도열하는 기둥'을 인스타그램(instagram.com/mmcakorea)에 공개했다.

이승조(李承組·1941~1990)는 전후 복구 시기 새로운 미래에 대한 열망이 충만했던 1960년대 아방가르드 세대로 등장하며 한국의 기하추상을 진취적으로 이끌었다.

작고 30주기를 맞아 연 이번 전시는 연대기적 분석을 토대로 작가가 전 생애에 걸쳐 매진했던 '핵'(核·Nucleus)의 예술적 본질을 찾아가는 여정을 소개한다.

1968~1990년 그가 마주했던 시대와의 관계 안에서 탄생한 회화 작품 90여 점을 비롯해 그가 창립 동인으로 활동했던 전위적 그룹 오리진(Origin)과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 관련 아카이브들을 소개하고 그 성과를 새로 조망한다.

194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한 이승조는 1960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해 동급생이었던 최명영, 서승원 등과 함께 순수한 회화로의 환원을 지향한 그룹 오리진(1962~)을 결성한다.

이후 '파이프'를 연상시키는 원통 단위를 조형 언어로 제시하고 한국 추상회화에서 매우 보기 드문 기계미학적 회화를 일궜다.

1968~1971년 당시 추상회화의 입상이 드물었던 보수적인 국전에서 4년을 연이어 수상하며 파란을 일으켰다.

현상학이론, 개념미술, 미니멀리즘 등 외부에서 유입된 현대미술의 흐름에 적극 호응한 그는 1970년대 중반 이후 단색화와의 연계성을 가지면서도 스스로 개척한 '핵'의 고유성을 놓지 않았다.

1988년엔 미국 미술에 강한 인상을 받아 회화와 오브제의 접목을 시도하며 알루미늄과 황동, 나무 패널들이 캔버스를 대체하는 새로운 실험을 전개했지만 성과를 보지 못한 채 1990년 타계했다.

생전에 '한국 화단에서 보기 드문 엄격한 기하학적 추상의 한 전형을 이룩한 화가'라는 평을 들었던 그는 회화의 아방가르드(Avant-garde)를 위해 철저한 자기 분석을 모색한 작가였다.

캔버스의 평면과 조형 간 구조적 논리를 추구한 이승조의 작품은 광학적이고 시각적인 옵아트(Op art)의 특징이 강하다.

매끄럽고 기계적인 표현은 당시로서는 이례적이었다.

이는 평붓의 사용과 사포질이라는 반복적인 노동, 그리고 종이테이프를 이용한 작가의 독자적인 채색 방법에서 발현됐다.

순수 조형을 향한 개척자와도 같은 그의 노력은 '전례 없는 속도와 스케일로 현대도시로 탈바꿈해 갔던 시대의 풍경과 시각을 초월하는 함축적인 표현으로서의 붓질'로 평가됐다.

전시는 작가가 이룩한 조형적 주제들에 따라 5개 섹션으로 구성됐다.

1부 '색 띠의 탄생', 2부 '평면과 모티프의 구축', 3부 '고요한 일렁임', 4부 '음과 양의 변주', 5부 '무한을 향하여'다.

1980년대 이후 안성 스튜디오에서 제작된 대작들도 중앙홀에서 소개한다.

1부 '색 띠의 탄생'에서는 색 면과 색 띠의 나열 사이에 원기둥 모티프가 처음 등장한 '핵 10'(1968), 오리진의 '3회 ORIGIN 회화전'에 출품됐을 때 뿐 이후 대중에게 소개된 적 없던 '핵 G-70'(1969)을 선보인다.

2부 '평면과 모티프의 구축'과 4부'음과 양의 변주'에서는 하나의 악상으로 출발한 원통형 모티프가 이뤄내는 축적된 양상들과 수 많은 가능성의 변주를 보여준다.

3부 '고요한 일렁임'에서는 절제와 반복적 행위로서의 작업 세계를, 5부 '무한을 향하여'에서는 이승조 회화의 정수이며 형상과 바탕의 위계가 사라진 균질한 진동과 파장의 공간을 볼 수 있다.

구축과 전진의 풍경을 은유하는 이번 전시의 부제 '도열하는 기둥'(Advancing Columns)은 시대와 조응하는 진취적인 개척자로서의 이승조를 새롭게 읽는다는 의미다.

1982년 기차 여행을 언급한 작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파이프'라는 시각적 연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던 당시 사회적 풍경과의 연계를 드러낸 주제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