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처, 수형인 명부 전수조사 대전·충남 1205명, 충북 103명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에 활용

▲ 보훈처가 확인한 수형인명부.

[충청일보 배명식기자] 정부가 수형자 명부 전수조사를 통해 일제강점기 때 수감된 독립운동가 5323명을 확인했다.
충청지역에서는 최소 1308명의 '민초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보훈처는 17일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시(군)·읍·면이 보존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수형(受刑)인명부'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독립운동과 관련해 옥고를 치른 수형자 5323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지 않은 수형자는 2487명으로 이들은 3·1운동 100주년인 올해 독립유공자로 포상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충남지역에선 모두 1205명이 확인됐다. 이들 중 포상을 받은 사람은 486명이며 아직 포상을 받지 못한 사람은 719명에 달한다. 미포상자 중에선 징역 1년 이상을 받은 사람이 34명, 징역 6개월 30명, 징역 3개월 7명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대전·충남은 태형 90대 167명, 태형 70대 110명, 태형 60대 159명, 태형 40대 130명, 태형 30대 49명 등 태형 처분이 많았다. 
이는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3·1운동 참가자들에 대해 일제 헌병대나 경찰서가 내린 즉결 처분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충북지역에서 독립운동 죄목으로 수형된 사람은 모두 103명이었으며 기포상자는 62명, 미포상자는 41명이었다.
징역 1년 이상이 9명, 징역 6개월 4명, 징역 3개월 1명, 태형 90대 3명, 태형 60대 2명 등으로 집계됐다. 22명에 대한 처분은 기재되지 않았다. 

이번 조사와 분석 결과 독립운동 관련 죄명(보안법·소요·대정<大正> 8년 제령7호·치안유지법 위반 등)의 수형자는 광주·전남지역이 198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전·충남 1205명, 인천·경기 456명, 대구·경북 404명, 제주 214명, 부산·경남 198명 등의 순이었다.

특히 광주지방재판소 자료(광주·전남·제주지역)에서 확인된 2626명의 86.9%에 해당하는 2282명은 사형(66명)과 종신형(9명)을 포함한 징역형 이상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호남 의병과 3·1운동 참여자들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확인된 미포상 수형자에 대해서는 독립운동 여부 확인과 검토를 거쳐 독립유공자 포상에 활용할 계획"이라며 "국가기록원과 전국 시·군(구)·읍·면 관계자들의 전수조사 협조에 사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인명부는 형을 받은 사람의 성명, 본적, 주소, 죄명, 재판 일자, 형명·형기, 처형도수(재범여부) 등을 담고 있어 독립운동 활동을 입증하는 핵심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보훈처는 이번 명부를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에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수형인명부는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고 아직도 수형인의 본적지에 있는 경우가 많아 오래전부터 학계 등에서 전수조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보훈처는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라는 국정과제 실천을 위해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계기로 '일제강점기 수형인명부 전수조사'를 했다.
전수조사는 지난해 3~11월 전국 1621개 읍·면 문서고 등을 직접 방문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