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유출·부동산 널뛰기 등
충청권 지자체 '출혈' 현실화
굵직한 공약사업도 우선순위
KTX역 추진 등 갈등 불씨도

[대전=충청일보 장중식기자] 날로 늘어가는 세종시 모습에 인접 광역지자체의 '속앓이'가 깊어지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세종시 인구는 23만 1552명. 지난 2012년 7월 출범 당시 10만 751명이었던 세종시 인구는 4년 만에 2배 이상 늘어 2020년까지 30만 명을 무난히 돌파할 전망이다.

세종시 조성 당시 정부가 발표했던 세종시 인구는 2030년까지 인구 50만 명을 달성, 자족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세종시와 접한 광역지자체들의 '출혈'이 현실화되기 시작했다. 대전시만 하더라도 150만 명 인구선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대전지역에 포진한 주요 공공기관도 속속 세종시 이전계획이 발표됐다.

충북도나 충남도 또한 굵직한 공약사업들이 상생 개념을 넘어 '세종시 우선순위'로 곤혹을 치루는 중이다.

수면 위로 가라앉았다고는 보지만, 여전히 불씨가 남아 있는  KTX 세종역 신설, 서대전역 경유 KTX 운행 횟수 감축 등은 해당 지자체에서는 필사적으로 막아야만 하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커 가는 세종시 인구가 어디로부터 유출됐는가에 있다.

2013년 당시 세종시 유입인구는 수도권이 50.7.7%, 충청권이 37.8%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4년은 상황이 바뀌었다.

충청권 유입비중이 57.3.3%로 수도권을 앞지른데다 2015년에는 충청권이 유입 인구의 64.7.7%로 늘었다. 한 마디로, 수도권 과밀화 해소 목표와는 달리 충청권 인구유출이라는 결과로 이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인접지역의 인구와 부동산 경기 등은 냉온탕을 오갔다.

실제 세종시와 10분 거리에 있는 대전시 유성구 반석동 지역의 경우, 세종시 조성 초기만 하더라도 주중에는 예약손님만 받아야 하는 등 호황을 누렸다.

부동산 가격 또한 1~2년 사이 2000만~4000만원의 '프리미엄'을 줘야 할 정도로 급등했다가 지난해 말부터 내리막길을 타기 시작해 인상 전 가격으로 되돌아 왔다.

이 같은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기능을 찾기 위해 국회 이전과 대기업 유치 등이 이뤄져야 하지만, 정치권의 셈법차이와 도시색깔 부족 등 여타의 이유로 인해 녹록지 않다.

겉으로는 '명실상부한 명품행정도시 세종' 건설에 동의하고 있지만, 역효과가 속속 드러나고 있는 현실에 직면한, 인접 지자체의 속내는 '불편한 동거' 그 자체다.

익명을 요구한 대전광역시 한 고위관계자는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번복돼 왔던 세종시 문제가 대승적 견지에서는 충청권이 한 목소리로 공조체제를 유지해 왔지만, 세종시가 커 가면 커 갈수록 위협적인 건 사실"이라며, "충청권 유출방지를 위해서는 수도권 인구 유인에 필요한 사안들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맞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인사는 "원초적으로 같은 충청권이지만, 일찌감치 대기업 유치 등으로 도세가 확장된 충남도와 이래저래 들러리 아닌 들러리를 서야 하는 대전시와 충북도는 그에 따른 보상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