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일보 사설] 문장대온천 개발은 충북과 경북이 30년 넘게 갈등을 빚고 있는 현안이다. 질긴 악연을 맺고 있는 이 사업에 대한 반응은 충북에선 반대, 경북에선 찬성이다. 오랜 법정 다툼으로 이어져온 이 사업의 개발과 저지를 위해 양 지역은 필사적으로 매달리고 있다. 이 갈등과 대립, 찬반은 현재진형형으로 아직 명확하게 결정된 게 없음에도 경북 쪽에서는 교통안내판에 문장대을 가르키면서 온천 표시를 해놓아 마치 온천이 있는 것처럼 소개하고 있다. 백두대간의 길목인 경북 상주 화령재에도 이 안내판이 있다.

경북 상주의 지주조합은 대법원에서 2003년과 2009년 두 차례에 걸쳐 불가 판결로 제동이 걸렸음에도 다시 환경영향평가(재협의)초안을 만들어 괴산군에서 공람을 마쳤다. 이 공람은 지난해 대구지방환경청에서 피해 우려지역인 괴산에서 공람 절차를 밟지않았다며 반려한데 대한 보완 조치다. 공람을 거쳤다는 건 다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충북에서도 가만있지 않았다. 올 5월 20일부터 7월 15일까지 공람을 한 뒤 종합의견을 내놓았다. 역시 개발 불가였다. 구체적인 이유나 반대 근거는 이전과 같다. 하류 지역의 환경오염이 불 보듯 뻔하고, 개발자 측이 오염방지 대책이라고 내세운 게 절대 미흡하다는 것이다. 종합의견에 괴산에서 공청회를 열어야한다는 것도 덧붙였다. 지역민들에게 개발계획의 실상을 알리겠다는 것으로 공청회가 끝나면 지역민들의 의견이 자연스레 집약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람 결과는 '혹시나'했더니 '역시나'라는 반응이다. 지난번 반려된 계획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그대로라면 지역민들이 걱정하는 하천 생태계 붕괴와 수질 환경오염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은 개발 강행과 적극 저지의 팽팽한 싸움을 예고하고 있다.

충북 지역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온천개발 저지 괴산군 대책위원회의 개발 반대 서명운동에 괴산 군민 3708명이 동참했다. 괴산 현지뿐만 아니라 범도민 대책위원회도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도민 참여와 전문가 자문을 위해 현재 100여 명인 대책위원을 1000여 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온천이 개발될 경우 그 오염물이 흘러들어갈 한강 수계 지역과 연대, 개발 반대 논리를 전국 이슈화 시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충북도의회의 특별위원회는 내년 6월까지 가동키로 했다.

법적으로 두 번씩이나 무산된 게 기술적인 것에 대한 것이다 보니 개발자들이 공법만 바꿔 또 다시 추진에 나서는 악순환이 계속된다고 보고 아예 온천지구 해제나 온천법 개정 등을 통한 근본적인 방어막을 펴기로 했다. 이를 위해 관련 법 개정 발의 등 지역 정치권이 여야 없이 공동전선에 합류했다.

문장대온천 개발 반대는 단순한 지역이기주의가 아니다. 개발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다른 지역이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된다면 왜, 누구를 위한 것이냐는 물음과 함께 반대가 뒤따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명확한 답변과 대안 제시 없이 개발을 강행하는 건 그 후유증을 다른 지역에 고스란히 떠넘기며 무시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