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수용 언론인(대전일보사 전 대표이사·발행인)

[신수용의 쓴소리칼럼] 신수용 언론인(대전일보사 전 대표이사·발행인)

구한말 우리에게 가장 치욕스러운 일은 명성황후가 시해된 일이다. 살인마 일본 낭인(무뢰배)을 도운 이는 다름 아닌 조선인 우범선이다.

그는 황궁을 지키는 별기군 대대장이었다. 황궁수비대장이 적의 앞잡이 노릇을 한 것이다. 이후 그는 보복이 두려워 일본으로 망명, 일본여자와 결혼을 하고 아들도 낳는다.

우범선은 아들이 여섯 살 되던 해 조선인 자객 (고영근) 에게 피살된다. 그의 아들은 고된 찌든 생활고 속에서도 어머니의 헌신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농림성에 취직을 한다.

아들은 그러나 창씨개명과 일본 국적 취득을 반대하다 결국 사표를 내고 도키이 종묘회사의 농장장으로 직장을 옮긴다.

해방 뒤 일본에서 채소나 과일의 종자를 수입해오던 이승만 정부는 우범선의 아들이 육종학(종자개발) 전문가임을 알고 그를 귀국시켰다. 반일감정이 지워지지 않은 그때, 곳곳에서 반대가 극심했다. 하지만 농업학회가 주선해, 그는 처자식 및 어머니와 생이별을 하고 홀로 귀국해 한국농업과학연구소 소장에 취임한다.

그 뒤 제주도 감귤, 강원도 감자, 병충해에 강한 무와 배추의 종자를 개발해 한국 농업의 선구자가 됐다. 아래 밑둥은 무, 이파리는 배추인 ‘무배추’를 육종한 이도 그다.

정부에서 그에게 농림부장관직을 제안했다. 그는 끝내 거절했다. 그러면서 종자개발에만 헌신했다. 이를 인정받아 1959년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는다. 그가 바로 우리나라 사람으로 처음 노벨상후보에 오른 ‘씨 없는 수박’로 이름을 알린 우장춘 박사다.

우장춘의 성공은 일본인 어머니의 엄한 가르침과 본인의 치열한 노력 때문이다. 뒤에는 민족적 감정을 떠나 조국으로 기꺼이 초치한 당시의 농학계와 행정부의 결단도 있었다.

그에게 자유당과 민주당이 앞 다퉈 국회의원 출마를 종용했다. 자유당의 이승만, 민주당의 해공 신익희가 직접 나섰지만 이것도 거부했다. 정치권이 ‘우장춘 육종학 박사’라는 인물이 탐내면서도, 상대 당에 가지 못하도록 ‘공적 우범선의 아들’이라고 그를 괴롭혔다. 언론들도 종전까지 ‘우박사 노벨상감’이라는 보도에서 180도 돌변했다. 당시 기사를 보면 ‘우장춘은 세계적인 육종학 박사지만 우범선의 아들’이라는 낙인을 찍어 비난 대열에 섰다.

우리는 물론 세계인들의 식탁에 오르는 김치를 실컷 담가 먹게 된 것도 다 그의 노력이었다. 배추, 무, 파, 고추, 마늘 등의 품질을 개량하고 전국에 보급하여 김장채소의 자급자족을 실현한 것도 그의 공이다. 그런데도 우장춘은 ‘우범선의 아들’로 끝내 용서받지 못한 박사로 길이 막혔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4,15 제21대 총선이 꼭 열흘이 남았다. 앞서 나흘간의 공식선거운동을 지켜보자니, 누가 누군지 알 길이 없다. 내가 사는 지역구는 누구고 비례대표 정당은 어디에 투표를 해야 하는 지도 헷갈린다. 오직 sns로 날아드는 수백 통의 선거홍보인사와, 상대 당을 흠집내는 글귀들 뿐이다. 보나마나 오늘 선거를 한다면 깜깜이 선거가 아닐 수 없다. 그러다 보니 후보들에 대한 악담만 떠다닌다.

과거에 상대 후보 아버지가 두 집 살림을 했다느니, 전두환·노태우의 앞잡이였다느니, 조국그룹의 핵심이라느니... 온통 마타도가 판을 친다.

선진정치문화를 목마르게 기다리면서 따끔하게 야단치는 이도 없다. 그러나 남의 험담에 약한 유권자들은 여기에 빠지기 십상이다. 이대로 가다가 혈연 지연 학연만 따져 감정투표를 했던 과거 7,80년 3김시대 때 선거와 다를 바 없어 보인다. 인물중심의 선택이 아니다. 그러니 1류 정치를 기대하면서 여전히 결과는 여전히 4류정치를 만들어 낸다.

충청권 28개 선거구를 비롯하여 수도권, 영 호남권모두 치열한 접전이다. 하지만, 누가 국회의원감이라는 선택의 잣대는 거의 없다. 후보검증은 물론이고, ‘정치보스 누구의 ×마니’,‘부동산 투기×’,‘누구는 여성편력이 심하다’,‘××종교의 광신도’등등 네거티브만 극성이다.

만약에 말이다. 우장춘 박사나, 심지어 조정대신들의 모함으로 유배를 갔다가 복직한 충무공 이순신장군, 평안도지역 동학군의 진압 대장이었던 안중근 의사가 이번 총선에 출마했더라면 어찌됐을까. 보나마다 마타도에 휩싸이긴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상대당과 경쟁후보가 별의별 의혹을 부풀려 이들의 호국정신과 애민정신, 국권수호의지를 네거티브로 깎아 내리지 않았을 까.

그러니 유권자는 여기에 넘어가지 말아야한다. 다선이라고 해서 능력이 출중하다는 판단도 잘못된 것이다. 정치신인이라고 해서 자질이 없는 게 아니다. 이들 중에 앞으로 나라와 국민을 위해 어떤 비전과 생각, 정책과 공약으로 우리를 대변하고 미래를 열지를 먼저 따져야한다. 그리고 정직하고 양심적이며, 이웃사촌같이 인간적인 사람을 골라야한다.

지금까지 유력 여론조사도 결과도 조사업체나 의뢰업체마다 ‘미친 × 널뛰듯’했다. 주는 것 없이 미워하지 말고, 4년 앞의 지금 우리를 생각한다면 그 한 표의 행사는 매우 귀중하다. 이번 선거가 끝나면 1년 11개월 후인 2022년 3월에는 제20대 대선이, 그 석달 뒤인 6월에는 지방선거가 있다.

때문에 1석이라도 더 얻으려는 여야의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질 것이다. 그러려면 여론을 끌 기위해 사돈의 8촌까지 끄집어내고, 상대의 별의별 흠집으로 접근할지 모른다. 그래서 인물론, 즉 후보의 능력과 자질, 양심과 도덕을 꼼꼼히 따져야함은 물론이다.

 

저작권자 © 충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